반응형

대부분 고등학생들이 수능을 끝나고 졸업하게 되면 운전면허를 따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생이거나 직장인 분들은 운전면허를 대부분 취득한 상태입니다.


그런데 운전을 하다보면 과속, 속도위반, 신호위반 등 교통법규를 위반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과태료 및 벌점을 받게 됩니다.


벌점은 교통법규를 지키지 않을 때마다 자동적으로 누적되는데요. 이러한 벌점이 쌓이게 되면 나중에 면허정지나 심하면 취소까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내 벌점은 쌓이지 않도록 주의를 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주변에 보면 내 운전면허 벌점이 얼마인지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럴때는 경찰청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아래 그림을 보고 따라하면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운전면허 벌점조회 인터넷으로 지금 바로 조회해보세요


운전면허 벌점조회는 경찰청교통민원24(efine)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먼저 경찰정 이파인 홈페이지로 접속해주세요. 네이버에서 검색하거나 아래 링크로 이동하세요.


efine 홈페이지 바로가기





경찰청교통민원24 메인 페이지가 뜨면 상단 메뉴 중 [운전면허 조사예약] 메뉴를 선택하세요.





그 후 서브메뉴가 나오면 여기서 [운전면허 벌점 조회] 메뉴를 선택하세요.





로그인 화면이 뜨면 이름과 주민번호를 입력한 후 공인인증서 로그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하단에 웹보안 및 키보드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지 물어보는데요. 설치하지 않으셔도 사용에는 문제 없습니다. 하지만 개인정보 유출에 불안하신 분들은 설치한 후 사용해 주세요.






공인인증서 로그인 창이뜨면 내 이름의 인증서를 선택한 후 공인인증서 암호를 입력하세요.





로그인 완료 후 자신의 운전면허 벌점이 조회 됩니다. 1년부터 3년까지 내 벌점 누산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벌점 40점 이상부터는 1점당 하루씩 면허가 정지됩니다. (예>>벌점 70점일 경우 70일 면허정지)


누산점수 초과로 인한 면허취소 기준은 1년간 121점, 2년간 201점, 3년간 271점 이상이므로 이 수치가 초과되지 않도록 주의해서 안전운전 하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경찰청교통민원24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운전면허 벌점조회 하는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혹시 지금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그래픽카드 정보를 아시나요? 하이앤드 유저나 게이머 분들을 제외한 많은 분들이 PC를 사용하면서 CPU나 메모리는 신경쓰면서 그래픽카드는 크게 중요시하지 않는거 같네요. 


기본적인 웹서핑이라면 문제 없겠지만 게임이나 3D 작업을 할때에는 외장형 그래픽카드의 유무와 사양이 정말 중요합니다. GPU-Z는 NVIDIA와 ATI사의 그래픽카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래픽카드 모델 이름과, 바이오스 정보, 그래픽카드의 사양 등 여러가지 그래픽카드의 하드웨어적인것을 알 수 있고 그래픽카드의 온도와 팬의 스피드, 메모리 사용량 등 현재 상태에 대한것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과 다운로드를 받고 싶다면 아래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GPU-Z 프로그램으로 그래픽카드 정보 및 사양을 쉽게 확인해보기


GPU-Z를 이용하여 컴퓨터 그래픽카드 정보를 확인하려면 GPU-Z를 다운받아야 합니다. 구글에서 GPU-Z 홈페이지 접속을 진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GPU-Z 홈페이지가 나타나면 GPU-Z를 통해 어떠한 그래픽카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지 안내가 나옵니다. GPU-Z를 다운받기 위해서는 Download GPU-Z 버튼을 눌러 GPU-Z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GPU-Z 다운로드 페이지가 뜨면 두가지 버전이 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arnard 버전과 Asus ROG Themed 두가지가 있는데요. 기능은 동일하며 스킨만 다르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둘 중 마음에 드는 버전을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GPU-Z를 다운로드 받기 전 다운로드 받을 서버를 선택해야 하는데요. 여기서 Server load율이 적은 서버를 선택하는게 GPU-Z를 빠르게 다운받을 수 있는 팁입니다.





GPU-Z 설치파일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설치할 지 물어보는데요. Yes를 눌러주세요.





GPU-Z 프로그램을 어느 경로에 설치할지 지정하고 Next 버튼을 누릅니다.





GPU-Z 설치 시 바탕화면에 GPU-Z 바로가기를 만들건지 결정하고 다음을 눌러주세요.





GPU-Z 설치 준비가 다 완료되었다면 install 버튼을 눌러주세요.






GPU-Z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있습니다. GPU-Z 설치가 다 종료될 때까지 대기하시면 됩니다.





GPU-Z 설치가 끝나면 이제 그래픽카드 정보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GPU-Z 프로그램을 실행한 화면입니다. 가장 먼저 내가 사용하고 있는 그래픽카드가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저는 Intel HD Graphics 630을 사용하고 있네요.


또한 그래픽카드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바이오스 버전,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버전, gpu 클럭, 대역폭, openGL, CUDA, PhysX 지원 여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Sensor 탭에서는 그래픽카드의 온도와 전압, 로드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dvanced 탭에서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의 날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래픽카드 스펙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 클릭 후 내 그래픽카드 정보를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https://www.techpowerup.com/gpu-specs/




지원스펙 및 다운로드

   

언어 : 영어
지원 OS : Windows 2000/XP/VISTA/7/8/10 (32bit & 64bit)
공개여부 : 프리웨어 
제작사 : http://www.techpowerup.com/gpuz/


GPU-Z.2.32.0.exe



 일단 두 파일 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받은 파일입니다. 글 작성 현재 최신버전은 2.32.0입니다. 또한 모두 언어는 영어로 제공됩니다. 만약 바이러스나 악성코드가 의심된다면 위에 있는 공식 홈페이지에 가서 다운로드 받으시길 바랍니다.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기 때문에 Windows 사용자들은 대부분 사용가능할 것 같네요. 상당히 사용법이 간단하면서도 자세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좋은 프로그램인거 같네요. 한가지 아쉬운 점은 언어를 영어로만 제공한다는 점이 있지만 그래도 어렵지 않은 인터페이스가 그 단점을 커버해 줄 수 있을 것 같네요. 만약 자신의 그래픽카드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GPU-Z를 사용해 보길 추천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파일 암호화 프로그램인 이지크립트 2.4 버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지크립트 프로그램의 경우 AES 256bit 파일 암호화 방식 및 SHA 512bit 안전한 해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파일의 암호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다른 사람이 보면 안되는 계약서나 중요한 파일 문서들이 있는데요. 이러한 경우 다른 컴퓨터로 중요한 파일을 그냥 전송하기에는 불안하니까 암호화 해서 파일을 전송해 보는게 좋은데요. 


그럴 때 사용하기 좋은 프로그램이 이지크립트 입니다. 이지크립트는 강력한 파일 암호화 기능을 제공하면서 어느 누구라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 꽤 많이 사용하고 계신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설치하고 암복호화를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지크립트 2.4 설치 및 복호화 방법 알아보기


EasyCrypt_2.4.2.1_x64_180130F.msi

EasyCrypt_2.4.2.1_x86_180130F.msi



먼저 위에 첨부해 드린 이지크립트 2.4 설치파일을 받아주시길 바랍니다. 해당 설치파일은 64비트와 32비트 설치파일이 따로 제공되니 내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 주시길 바랍니다.


해당 이지크립트 프로그램은 공식 제작자 사이트인 copynull.tistory.com 에서 받은 파일이며, 공식 사이트 또는 네이버 소프트웨어 자료실에서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지크립트 설치파일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프로그램 버전 및 안내사항이 뜨는데요. 다음을 눌러주세요.





이지크립트 설치 마법사 시작 창이 뜨면 다음단계로 넘어가 주시길 바랍니다.





이지크립트의 소프트웨어 사용자 사용권 계약서 창이 뜨면 내용을 잘 확인해 보신 뒤 다음을 눌러주세요. 참고로 이 프로그램은 프리웨어로 기업, 관공서, 단체에서도 무료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입니다.





이지크립트 설치 시 이름과 조직을 입력하는 창이 뜨면 정보를 입력해 주신 후 다음을 눌러주세요.





이지크립트 2.4 버전을 어느 경로에 설치할 지 묻는 창이 뜨면 설치 폴더를 선택하고 다음을 눌러주세요.





이지크립트 설치 준비가 다 완료되었다면 다음 버튼을 눌러 설치를 시작해주세요.




이지크립트 2.4 설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설치 완료까지는 최대 1분가량 소요될 수 있다고 하네요.





이지크립트 2.4가 설치 완료되었습니다. 닫기 버튼을 눌러 이지크립트 설치창을 닫아주세요.





이제 이지크립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일이나 폴더를 암호화 해 볼텐데요.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누른 후 파일 암호화 메뉴를 선택하시면 내가 선택한 파일을 암호화 해 볼 수 있습니다.





암호화 하기 전 암호 입력창이 뜨면 암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단, 비밀번호의 경우 잃어버리게 되면 복호화가 절대 불가능 하기 때문에 암호를 잘 기억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지크립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암호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파일의 용량에 따라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점 참고해주세요.





정상적으로 암호화가 완료되었다면 왼쪽에 있던 원본파일이 오른쪽과 같이 ezc라는 파일 확장자로 암호화 된 걸 볼 수 있습니다.





암호화 된 ezc 파일을 다시 복호화 하기 위해서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파일 복호화 메뉴를 사용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파일 복호화 할 때는 아까 암호화 할 때 설정하였던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해야 하는데요.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파일 복호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복호화도 암호화 할 때와 같이 파일 용량에 따라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점 알아두세요.





정상적으로 파일 복호화가 완료되면 왼쪽에 있던 ezc 파일이 원본 파일로 변환 된 것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이지크립트를 이용한 파일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MSVCP100.DLL 또는 MSVCR100.DLL 이(가) 없어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라는 에러가 뜰때가 있습니다. 저 에러가 뜨는 이유는 Visual C++ 2010이 설치되지 않은 컴퓨터에서 Visual C++로 개발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Visual C++ 라이브러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 에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Microsoft Visual C++ 2010 재배포 가능 패키지를 설치하면 해결됩니다. 해당 파일은 마이크로소프트 다운로드 센터 또는 제 블로그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msvcr100.dll, msvcp100.dll 오류 초간단하게 해결하기


Microsoft Visual C++ 2010 재배포 가능 패키지는 32비트와 64비트 2가지 버전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일단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 버전을 확인한 후 다운로드를 받아야합니다. 자신의 컴퓨터 버전 확인 방법은 아래 링크를 확인하면 됩니다.


[PC Tip] - 윈도우10 32비트 64비트 확인방법


자신의 컴퓨터 버전을 확인했다면 아래서 재배포 가능 패키지를 다운받아 설치해주세요.



[32비트(x86)용]

제작사 : 마이크로소프트

지원 OS : Windows 10, Windows 8.1, Windows 8, Windows 7, Windows Server 2003 R2 (32-Bit x86),
            Windows Server 2003 Service Pack 2, Windows Server 2008 R2,
            Windows Server 2008 Service Pack 2, Windows Vista Service Pack 2,
            Windows XP Service Pack 3

파일크기 : 4.76 MB

다운로드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 :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8328

다운로드 (블로그 바로받기)

 

vcredist_x86.exe




[64비트(x64)용]

제작사 : 마이크로소프트

지원 OS : Windows 10, Windows 8.1, Windows 8, Windows 7, Windows Server 2003 R2 (32-Bit x86),                  Windows Server 2003 Service Pack 2, Windows Server 2008 R2,
            Windows Server 2008 Service Pack 2, Windows Vista Service Pack 2, 
            Windows XP Service Pack 3

파일크기 : 5.41 MB

다운로드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 :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13523

다운로드 (블로그 바로받기)

 

vcredist_x64.exe




만약 공식 웹사이트에서 Microsoft Visual C++ 2010 SP1을 다운받고 싶다면 위에 남겨드린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그 후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visual C++ 2010 재배포 가능 패키지를 다운받아 주세요.





다운로드 받은 Microsoft Visual C++ 2010 재배포 가능 패키지를 실행하면 마이크로소프트 사용조건에 동의를 해야 설치 가능합니다. 해당 내용을 파악하고 숙지한 후에 설치를 진행해 주세요.





Microsoft Visual C++ 2010 재배포 가능 패키지가 설치되고 있습니다. 이게 설치가 다 되면 msvcr100.dll과 msvcp100.dll 오류가 해결된답니다.





설치가 다 완료되고 나면 마침버튼을 누르고 아까 msvcr100.dll과 msvcp100.dll 오류가 발생했던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시길 바랍니다. 아마 잘 실행되는걸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msvcr100.dll, msvcp100.dll 오류 해결방법을 차근차근 단계별로 어떻게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